날 짜 : 2017년 12월 2일 with 허
장 소 : 통영 연화도
교 통 : 서울남부(23:30) -> 통영(03:17) / 심야버스 / 27,100원 / 원래 4시간 30분 소요된다고 되어 있으나 심야엔 빠름.
통영터미널(04:30) -> 서호시장 (04:50분경) / 104번 시내버스 / 1,200원(교통카드 가능) : 매번 택시를 탔는데 이번에는 버스로~
(통영터미널에서 서호시장까지 가는 버스(534번)는 새벽 04:10분에도 있다.
04:10분 버스는 미륵도 척포해변까지 가는 버스다. 척포해변은 일출보기 좋은 곳)
통영여객석터미널(06:30) -> 연화도(07:35) / 10,000원(주말 할증 10%) / 약 1시간 소요
연화도(13:30) -> 통영여객선터미널(14:40) / 10,000원(주말 할증 10%) / 약 1시간 소요
통영터미널(16:30) -> 서울남부(21:00) / 24,600원 / 4시간 30분 소요
하고 싶은 일이 있다면
해야 하는 일이 있다면
지금이
바로 그 때다.
광활한 바다를 보고 싶었다.
배 위에서 일출도 보고 싶었다.
언젠가 비금도를 나오면서 배 위에서 보았던 일몰과 그 날의 잔향들이 내 안 깊숙하게 자리 잡고 있다.
이제는 일출을 보고 싶었다.
나는 산에서건 바다에서건 새로운 날의 새로운 태양이 떠오르는 것을 보는 게 무척이나 좋다.
첩첩한 산 능선이나, 광활한 바다를 뚫고 떠오르는 태양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많은 것들이 아무것도 아닌 게 된다.
여행을 다녀오면 무엇을 얻었지? 자문한다.
딱히 얻어 온 것은 없다.
눈으로 보이는 혹은 내 손안에 쥐어진 실체적, 물질적인 것은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버리고 오는 게 많지. 시간, 돈, 내 에너지~^^
그러나, 무언가 딱히 실존적인 것을 손에 쥐어야만 얻는 것은 아니다.
내 머릿속에 내 마음속에 깊이 각인된 것들이 있다는 것을
그리고 훨씬 큰 것을 얻었다는 것을 나중에야......,그래 나중에야 알게 된다.
그래서...정말로는.... 아무것도 아닌 것이 아니다.
이리저리 머리를 굴려보다 작년 여름에 이미 다녀왔지만 도와주지 않은 날씨 덕에
제대로 보고 오지 못했던 연화도행을 계획해본다.
'가보고 싶은 섬'에서 연화도행 첫배가 여전히 06시 30분임을 확인하고,
12월 2일 아침 통영 욕지면의 일출시각도 확인한다.
통영에서 연화도까지 배를 타는 시간 1시간,
그러면 배를 타고 가는 도중에 일출을 만나겠구나~
노는 계획에는 왜 이리 머리가 잘도 도는지~ㅠ
작년 여름에도 함께 했었던 친구가 이번에도 기꺼운 동행을 자처한다.
그래...우리 제대로 보고 오자고~
결과는 아래 사진과 같다.
기꺼운 동행을 자처해준 친구를 위해 다시 배 위에서 보는 일몰을 계획해봐야지~
오른쪽으로 보이는 불빛은 금호리조트 통영 마리나
새벽 조업을 나갔던 어선이 되돌아오고 있다.
부디 만선이었기를...
해는 동에서 떠오르고 배는 남서쪽으로 계속 빠르게 달리고 있어
떠오르는 태양의 위치가 변하고 있다.
아~ 새 날이 밝았다.
내 인생의 가장 젊은 날도 이렇게 밝았다.
힘차게 살아내야지~
--------------
남부터미널에서 23:30분 심야버스를 타면 통영까지 4시간 30분이 걸린다고 되어 있다.
새벽 4시 도착 예정이다.
그러나, 심야버스는 매번 한참이나 앞선 시간에 나를 목적지에 떨궈놓는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40여 분이나 일찍 도착했다.
대개 30~40분 이르게 도착하는 것 같다.
감사하게도 이 이른 새벽 시간에 통영터미널은 문이 열려 있고, 난방이 되고 있다.
서호시장이 새벽 4시에 문을 열기 때문에 이른 시간에 택시 타고 가봐야 소용없는 일.
이곳에서 간식과 커피를 마시며 시간을 보내고 있다.
4시 30분경 택시를 타고 가야지~하고 있었는데
어라~버스가 지나가네~
인터넷 폭풍검색~~ㅎㅎ
4시 30분에도 버스가 있네~
그렇다면 굳이 택시를 탈 이유가 없다.
나중에 들으니 우리와 같은 경로로 이동하는 사람들은 모두 택시를 탔다고~ㅎㅎ
이른 시각이라 버스에 승객이 거의 없다.
서호시장까지 20여분 걸린다.
이미 깨어있는 시장~
부지런한 사람들이 잘 사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는데...
돈이 돈을 버는 구조는 무언가 잘못되고 있다는 생각을 한다.
요즘 한참 문제가 되는 가상화폐도 이런 자본주의 시스템의 음성적 산물이겠지~
투자은행 크레디트스위스가 (2017년 11월 14일) 발표한 ‘글로벌 부 보고서’(Global Wealth Report)에 따르면
올해 중반 기준 전 세계 부는 280조달러(31경3,000조원)에 달해 1년 전보다 6.4% 증가했다.
이번 증가율은 2012년 이후 가장 높았는데 이는 증시 호황, 부동산 가치 상승 등이 주도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이 중에서 상위 1%의 부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50.1%에 달해 2008년 금융위기 당시 42.5%보다 부의 불평등이 심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그 중에서도 전 세계 인구의 0.5%에도 못 미치는 백만장자들이 현재 280조 달러로 평가되는 전 세계 부의 46%를 움켜쥐고 있다고
보고서는 또한 지적했다.
이들 슈퍼리치의 자산이 늘어나는 것은 이 서호시장의 새벽을 깨우는 사람들처럼 부지런하고 열심히 노동의 대가가 아니라
증시 호황이나 움켜쥐고 있는 부동산 가치의 상승 등, 자본소득 증가로 인한
노동의 대가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것이다.
즉, 자본주의 시스템의 결과이다.
물론, 처음에는 나도 열심히 일했어~하면 할 말은 없다.
그러나, 자산 불평등의 심화가 자본주의의 커다란 폐해임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소로우 아저씨가 말하길~ 사람이 부자이냐 아니냐는 그의 소유물이 많고 적음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없이 지내도 되는 물건이 많으냐 적으냐에 달려있다~고 했는데...
아저씨~~이~현실과 이상은 많이 다르다고요~~~
에혀~내가 고민한다고 바뀔 수 있는 시스템이 아니다.
난 나대로 열심히 아자~!!
몇 번을 왔으면서도 매번 그렇듯 한참을 헤맨 후에 ㅠ
항상 가던 시락국집을 찾아 들어가 따스한 국물로 배를 채우고 나와 여객선터미널로 이동하고 있다.
통영에서 연화도를 거쳐 욕지도로 가고
욕지에서 출발한 배가 우도를 거쳐 연화로 온다.
친구야~ 이 새벽에 잠도 몬자고 이럴 가치가 있을까? ^^
그러나, 피곤을 이겨낼만한 것이 그 곳에 있었다.
우리를 연화도로 데려다 줄 욕지아일랜드 호
그대들은 어느 섬으로 가나요?
현재시각 06:29
아직 30분이 안되었는데 걍~출발해버리네~
겨울 아침 이른 첫배라서인지 승객이 얼마 없다.
서울에서 왔다는 산악회팀 28명과 우리처럼 개별여행을 온 여남은 명과 현지 주민들로 보이는 몇 분~
우리는 지금 연화도로 간다. ^^
'길 위에 서다 > 길에 서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1216] 지난 추억을 반추하며 걸었던 길 : 분천역 - 양원역 - 승부역 (0) | 2017.12.20 |
---|---|
[20171202] 무박여행 : 통영 연화도 구석 구석~ (0) | 2017.12.06 |
[20171111] 운길산역에서 청평역까지 26km 걷기 (0) | 2017.11.13 |
[20171104] 세 여자의 가을 여행 - 문경새재 (0) | 2017.11.06 |
[20171021] Tread softly because you tread on autumn ^^ (0) | 2017.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