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괭이눈, 괭이눈, 선괭이눈 / 범의귀과 2019년 4월 27일 오대산 선재길에서 만난 애기괭이눈 2013년 4월 7일 영월 법흥사 뒷쪽 계곡에서 만났다. by FinePix F70EXR 애기괭이눈 ------------- 2019년 4월 27일 오대산 선재길 괭이눈 괭이눈 / 2011년 5월 8일 소백산 둔한 톱니가 있고 꽃 둘레의 잎은 연한 노란색이다. ------------- 2018년 4월 07일 선자.. 들꽃을 배우다/봄의 들꽃 2018.04.12
자주조희풀, 병조희풀 / 미나리아재비과 자주조희풀인데, 병조희풀과 비슷하지만 보다 크며 세장하다~고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 써 있다. 세장하다~참말로....이게 최선인가요? 세장(細長)하다. 아마도 '가늘고 길다'라는 표현을 그리 한 것 같은데 쉽고 좋은 우리말 놔두고 왜들 이러는지~어휴~ 2017년 8월 19일 광~청 종주 중.. 들꽃을 배우다/여름 들꽃 2017.08.21
벌노랑이 / 콩과 2015년 5월 23일 도초도에서 다시 만난 벌노랑이 by 후지 FinePix F70EXR ------------ 2013년 5월 17일 자은도에서 만났다. 국가생물종사이트에는 피는 시기가 6~8월로 되어 있다. 햇볕이 강해 많이 찍어오지는 못했지만 걷는동안 종종 만났는데 선명한 노랑이 얼마나 화사하던지~~ by 베가 S5(IM-A840S) 들꽃을 배우다/여름 들꽃 2015.05.28
실거리 나무 / 콩과 2015년 5월 23일 도초도에서 다시 만난 실거리나무 ---------------- 2008년 5월 11일 청산도에서 만났다. 덩굴성 낙엽활엽관목으로 키는 6~7m이고, 원산지는 한국이며, 일본과 중국, 인도에도 분포한다. 전북 어청도와 충남 외연도 이남의 섬과 해변의 계곡과 산록에서 자라고, 제주도에서는 표고 70.. 들꽃을 배우다/봄의 들꽃 2015.05.28
마삭줄/협죽도과 2015년 5월 23일 도초도 해안가에서 만났다. 상록 활엽 덩굴성 식물로 내한성이 약하고, 해안지방에서 잘 자란다고 한다. 그러고보면 섬에 갈때마다 자주 본 듯하다. 들꽃을 배우다/봄의 들꽃 2015.05.28
모래지치(갯모래지치)/지치과 2015년 5월 23일 남쪽 먼바다 우이도에서 만났다. 생육환경이 해변의 모래밭이라 하네~ 그래서 이름이 모래지치인가 보다. 색만 다르지 반디지치랑 비슷하게 생겨서 금새 지치과의 꽃인줄 알았다. 꽃은 5월부터 8월까지 핀다고 한다. 들꽃을 배우다/여름 들꽃 2015.05.28
노루발 / 노루발과 2015년 5월 23일 멀리 남쪽바다 도초도 섬에서 만났다. 풀숲이 무척 무서웠는데 무서움을 꾹 참고 찍어왔다. ㅠ 처음 만나 반가웠다. 쥐꼬리풀도 만났는데 아쉽게도 접사가 되지 않는 내 카메라로는 안 찍어지더라~ 원래 6~7월에 핀다고 해서 여름꽃으로 분류해둔다. 들꽃을 배우다/여름 들꽃 2015.05.28
각시붓꽃 / 붓꽃과 2015년 4월 18일 장봉도에서 다시 만난 소담한 부케같은 각시붓꽃~ by 베가 S5 ---------------- 2009년 4월 19일 강화 고려산에서 만났다. by 캐논 IXUS 80 IS 들꽃을 배우다/봄의 들꽃 2015.04.20
[20150411] 뾰루봉~화야산~고동산 종주에서 만난 봄 들꽃(두 번째) 날 짜 : 2015년 4월 11일 코 스 : 뾰루봉 식당 - 뾰루봉 - 화야산 - 고동산 - 야밀고개 - 삼회리 야밀종점 버스정류장 : 약 14km 눈이 호사했다. 작년보다 한주 늦어 꽃들이 있을까 긴가민가하면서도 얼레지는 볼 수 있겠지~하면서 나선 길이었다. 오히려 작년보다 며칠 꽃이 늦은 것 같았다. 작년.. 들꽃을 배우다/봄의 들꽃 2015.04.13